한림대학교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정명남 석사과정생, ‘2025년도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사진: 한림대 반도체 디스플레이스쿨 정명남 석사과정생>
한림대학교(총장 최양희)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정명남 석사과정생(지도교수: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이종민 교수)이 「전도성 고분자 기반 자가진동형 초저전력 마이크로필러 센서-액추에이터 개발」로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주관하는 ‘2025년도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신규과제에 선정됐다.
그는 평소 메니스커스 유도 3D 프린팅을 통해 고종횡비 마이크로필러·격자·나노복합체 등 다양한 미세구조를 제작하고 응용 분야를 탐구해 왔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확보할 마이크로필러의 구조 최적화 데이터와 전기장 인가 시 진동 특성에 대한 체계적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초저전력·자가진동형 액추에이터 구현의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며, 이는 외부 제어신호와 복잡한 구동장치에 의존하는 기존 액추에터와 달리, 간소한 하드웨어로 안정적 자가진동을 유도할 수 있어 초소형 로봇, 정밀 마이크로유체 제어, 바이오센서,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첨단 응용으로의 확장성을 크게 높인다.
아울러 AI 기반 설계·최적화(Structure–Property–Actuation 연계 모델)를 도입해 미세구조 형상, 재료 조성, 공정 조건을 동시 최적화함으로써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성능 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정명남 학생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저전력 구동과 공정 재현성을 겸비한 통합 센서-액추에이터 플랫폼을 제시하겠다”며, “의미있는 연구활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도교수인 이종민 교수는 “이번 연구활동을 통해 도출된 결과의 산업적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해 관련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림대학교, 제12대 총장 최양희 박사 취임 사진: 왼쪽부터 학교법인일송학원 윤희성 이사장, 한림대학교 제12대 총장 최양희 박사 한림대학교 제11대 총장 최양희 박사가 제1
한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송태웅, 박현준 석사과정생, 2025년도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사진: (왼쪽부터) 한림대 반도체 컴퓨터공학과 송태웅 석사과정생,
한림대학교 반도체 디스플레이스쿨 정명남 석사과정생, 2025년도 석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사진: 한림대 반도체 디스플레이스쿨 정명남 석사과정생 한림대학
세계 인터넷 역사에 이름을 새기다, 한림대학교 박현제 교수, 2025 세계 인터넷 명예의 전당 헌정자로 선정- 한국인 세 번째 헌정 브로드밴드 상용화와 글로벌 거버넌스 기여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이승진 교수, 제11회 언어치료인의 날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수상 사진: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이승진 교수 한림대학교(총장 최양희)는 언어청각학부 이승진 교수가
한림대학교, 신임 부총장에 사회학과 박준식 교수, 교무처장에 소프트웨어학부 고영웅 교수 선임 사진: 한림대학교 보직교원 임명장 수여식 기념촬영 왼쪽부터 최균 사회복지대학원장, 김